경화제(Hardener)
경화제는 불용불융의 고분자 약품으로써 열경화성 수지의 경화반응을 돕는 촉매역활을 합니다.
이것은 주로 에폭시계통의 수지가 반응하는 경화제로서 경화제와 수지의 종류, 배합비, 반응조건에 따라 다르므로 적정한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인쇄회로기판용으로 에폭시수지의 경화제로 B stage상태에서 프리프레그의 보존안전성이 우수한 쪽으로 선택하여야 합니다.
지방족폴리아민계의 경화제는 상온에서 경화반응이 개시하므로 프리프레그의 안전성에 도움이 되고 방향족폴리아민계의 경화제는 보존성, 내열성, 내약품성, 전기특성이 양호한 경화제입니다.
에폭시수지용 경화제의 종류
1. 촉매타입계
BF3-MEA(BF3 Mono Ethyl Amin)
BDMA(benzol demethly Amin)
DICY(Decyan deamin)
Phenyl Imidazle
2. 방향족 폴리아민계
MPDA(Meda Phenylen deamin)
DDS(Dephenyl Deaminozl)
DDM(Dephenyl Deamino Metane)
3. 지방족폴리아민계
DETA(De Ethylen Triamin)
TETA(Triethylen Tetramin)
4. 산무수물계
NMA(무수 Methyl Methacrylate)
HET(무수 Chlorendic Antydride)
가교제,
플라스틱 가교제의 개요
열에 의해 분해되는 화합물은 중합반응을 개시하고 가교반응에 영향을 준다.
분해속도는 분해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계에 첨가되는 증감제(Promotor)와 가속제(Accelerator)에 의해 혹은 분해를 지연시키는 금지제에 의해 조절된다.
가교반응에 쓰이는 액체수지에 첨가되는 첨가제는 촉매, 후경화제, 가교제, 개시제 등 여러 명칭으로 불린다.
이런 목적에 쓰이는 화학물질은 유기과산화물과 이에 관련되는 산소를 가지는 화합물이다.
이들은 전형적으로 수지 100에 1~3의 농도로 쓰이며, 최종용도로 쓰이기 바로 전에 수지와 함께 뒤섞는다. 가교결합은 거의 순간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촉매화된 수지는 제한된 수명을 갖는다. 또 같은 종류의 화합물들이 PS, PVC, 폴리올레핀과 같은 열가소성수지의 제조에서 초기 중합반응에 쓰이고 있다.
이 용도로 쓰이는 과산화화합물은 플라스틱 첨가제이기 보다는 중합촉매로 볼 수 있다.
가교제가 후 중합첨가제로 쓰이는 주된 수지는 UPE, PE 등이다.
과산화화합물과 함께 쓰이는 반응촉진제는 보통 마그네슘과 코발트 옥타이트이다.
최근 소개된 바나듐 화합물은 다른 금속화합물보다 변성이 적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자유 라디칼 (free-radical) 또는 라디칼이라고 부르는라디칼 개시제 (radical initiator)는 단량체 존재하에서 라디칼을 생성하는 화합물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빛이나 열, 화학반응 또는 방사선에 의해 화학결합이 약한 부분의 결합이 끊어져서 라디칼이 형성됩니다. 개시제의 라디칼 생성 조건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나누어서 고찰할 수 있습니다. 각각에 대해서 아래에 설명하고, 표 1에 라디칼 개시제의 유형과 반응을 요약해두었습니다. |
|
|
(1). 열분해 반응
(2). 산화환원 반응에의한 개시반응
(3). 직접 열 개시
(4). 광개시 반응
(5). 고에너지 방사선에의한 개시
표 1. 자유 라디칼 개시제의 종류와 반응.
|
개시제 종류 |
화학식 혹은 예 |
1 |
유기 과산화물 또는 하이드로과산화물 |
R-O-O-R, RCOOH, 벤조일퍼옥시드, PhC(=O)OOC(=O)Ph |
2 |
산화-환원제 |
퍼설페이트+환원제, 하이드로과산화물+ 철(Ⅱ)이온 |
3 |
아조 화합물 |
R-N=N-R', Me2C(CN)N=NC(CN)Me2 (AIBN) |
4 |
유기금속시약 |
알킬화은, RAg |
5 |
열, 빛, 자외선 혹은 고에너지 조사 |
|
6 |
전해질의 전자이동 |
|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폭시 라이닝공사 절차서 (0) | 2013.01.16 |
---|---|
frp 도금조 라이닝 보수공사 (0) | 2013.01.15 |
미끄럼 방지 (0) | 2012.06.12 |
에폭시 경화제 (0) | 2012.05.31 |
내식(내화학탱크)용 수지 설계 요얄기중 (0) | 2012.05.31 |